안녕하세요. 라바루입니다 😊
최근 인천국제공항에서 예상 밖의 풍경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바로 공항 대합실과 전망대, 교통센터 등에 머무는 노인들의 모습인데요.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 틈에서 평상에 돗자리를 깔고 식사를 하거나, 믹스커피를 마시며 하루를 보내는 어르신들이 눈에 띄게 많아졌습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갈 곳이 없기 때문입니다.
인천공항이 '쉼터'가 된 어르신들
한 어르신은 "젊은 사람들 눈치 볼 필요도 없고, 쫓겨나지 않아서 편하다"고 말합니다. 공항은 무료로 개방된 공간이기에 비를 피할 수도 있고, 실내는 시원하고 쾌적하니까요. 장기판을 펼치고 친구들과 이야기하며, 무심한 하루를 보낼 수 있는 곳. 이곳이 그들에게는 '도시 속 마지막 피신처'가 된 셈입니다.
그러나 이 풍경은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 정보 부족과 사회적 단절을 보여주는 현실이기도 합니다.
만약 조금은 규칙적이고 보람된 시간을 보내고 싶으신 어르신 분들이 계신다면 노인 일자리 사업을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노인 일자리 사업
사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어르신들의 소득 보전과 사회참여를 위한 다양한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제도를 몰라서 신청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보는 있는데, 닿지 않는 것이 문제입니다.
1. 공익형 일자리
- 대상: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 활동: 노노케어, 도서관 봉사, 교통지도 등 지역사회 공익 활동
- 특징: 적은 시간으로도 성취감과 소득을 동시에 얻을 수 있음
2.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 대상: 만 60세 또는 65세 이상
- 내용: 경력을 살려 가사도우미, 행정보조, 지역돌봄 등 수행
3. 민간형 일자리
- 예시: 실버카페, 시험감독, 경비, 시니어인턴십
- 소득: 월급 또는 인센티브 방식의 실질적 수익 창출
4. 시니어클럽이란?
시니어클럽은 지역 내 노인 일자리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기관입니다. 어르신에게 맞는 업무를 소개해주고, 교육까지 함께 진행합니다.
어떻게 신청하나요?
- 방문: 동주민센터, 구청 노인복지과
- 전화: 보건복지부 129
- 온라인: 한국노인인력개발원 (www.kordi.or.kr)
노인에게 필요한 건 '쉼터'와 '일자리' 그리고 '정보'
인천공항에 모여 있는 어르신들의 모습은 단순한 휴식이 아닙니다. 지자체 복지관, 경로당, 공공기관 등도 있지만, 정보 접근이 어렵고, 참여 방법이 복잡하다는 이유로 이용률이 낮습니다.
이제는 '찾아가는 복지'가 필요합니다. 단순한 정책 전달이 아니라, 어르신의 눈높이에 맞춰 직접 안내해주는 시스템, 그리고 어르신들이 스스로 자존감을 느끼며 참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일자리가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고령화 사회가 본격화되며 '노인 복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공간만이 아니라, 의미 있는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혹시 주변에 아직 노인일자리 제도를 모르시는 어르신이 계시다면, 이 글을 공유해주세요. 작은 관심이 한 사람의 삶을 바꿀 수 있습니다 😊
필수영양제 체크하세요(+ 50가지 영양제 총정리)
안녕하세요, 라바루입니다 😊"영양제 뭐 드세요?"라는 질문, 요즘은 안부 인사처럼 자주 들리죠. 비타민부터 오메가-3, 유산균, 심지어 콜라겐까지—영양제는 이제 식탁 위의 기본템이 되어버렸
news.in-day.co.kr
중년여성 재취업하기(공공일자리와 사회적기업 정리 공유)
안녕하세요, 라바루입니다😊오늘은 중년 여성분들을 위한 공공일자리와 사회적 기업 참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자녀들이 어느 정도 자라고, 내 시간이 조금 생겼을 때, "이제 다시 뭔가
news.in-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