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집된장 맛! 무 갈아 넣고 끓인 깊고 구수한 된장찌개 레시피입니다.
70년 내공이 담긴 전통 된장찌개, 무를 갈아 넣고 쌀뜨물로 우려내 깊고 시원한 국물 맛을 내는 이 레시피는, 반찬 없이 밥 한 그릇 뚝딱할 수 있는 ‘진짜 찐’ 된장찌개입니다.
된장을 손으로 주물러 풀고, 멸치를 바로 넣어 푹 끓이는 이 방식은 요즘 보기 드문 진짜 집밥 스타일. 특히 집된장이 없을 때 시판 ‘맥된장’을 활용하는 팁까지 알려드릴게요.
이 된장찌개 레시피는 경기 양평군에 사시는 81세 손예순님께서 유튜브 채널 ‘전국 집밥 자랑’ 프로그램에 출연해 “70년 인생, 이 된장찌개 하나로 가족 밥상을 책임졌다”며 소개한 전통 방식 그대로 입니다. 다들 맛을 보더니 감탄을 금치 못하는 모습에 저는 요알못이지만 남편이 된장찌개를 너무너무 좋아하는 관계로 된장찌개만큼은 마스터 해보려고 합니다.
같이 배워봐요!!
손예순님은 집된장을 베이스로 하여 무를 갈아 넣고, 쌀뜨물을 사용하고, 된장은 반드시 손으로 주물러 풀어야 한다는 중요한 비법을 강조하셨습니다.
“요즘은 간단히 된장찌개 끓이지만, 진짜 맛은 정성이 담긴 국물에서 나와요.”라는 말씀처럼, 깊은 맛은 시간과 정성에서 비롯됩니다.
🛒 재료 (3~4인분)
• 무 (강판에 갈아서 두 큰술 정도)
• 된장 2큰술 (집된장 또는 시판 맥된장)
• 쌀뜨물 500600ml (23번째 헹군 물 사용)
• 손질된 대멸치 10마리
• 애호박 반 개
• 대파 흰대 1개
• 두부 반 모~한 모 (취향에 따라)
• 청양고추 1개 (홍고추는 선택)
🍲 조리 순서 & 핵심 노하우
1. 무 갈기
무를 강판에 갈아 2큰술 분량 준비합니다.
▶ 무는 국물 맛을 시원하고 깊게 만들어주는 비법 재료입니다.
2. 된장 준비
된장은 숟가락으로 풀지 말고 손으로 주물러 푸세요.
▶ 손으로 문지르면 된장 입자가 곱게 풀어지고, 맛이 더 깊어집니다.
3. 쌀뜨물 붓기
2~3번째 쌀뜨물을 냄비에 붓고, 갈아둔 무와 주물러 둔 된장을 함께 넣어줍니다.
▶ 쌀뜨물은 구수함과 감칠맛을 더해주는 핵심 비법!
4. 멸치 넣고 끓이기
손질한 대멸치 10마리를 통째로 넣고 끓입니다.
▶ 멸치는 건지지 않아도 되고, 먹으면서 건져내도 좋아요.
5. 충분히 오래 끓이기
거품이 올라왔다가 사라질 때까지 오래 끓입니다.
▶ 집된장은 오래 끓일수록 진한 맛이 살아나요. 시판 된장도 이 방법으로 풍미 UP!
6. 야채와 두부 넣기
애호박, 대파, 두부를 큼직하게 썰어 넣습니다.
• 대파는 흰대 부분만 크게 썰어야 식감이 좋고
• 두부는 반 모~한 모까지 취향껏,
• 청양고추나 홍고추는 선택사항입니다.
7. 간 맞추기
간을 봤을 때 짜다면 두부나 물을 추가해 간을 조절하세요.
기호에 따라 고춧가루 살짝 넣어도 맛있습니다.
모든 재료가 어우러지고, 국물 거품이 가라앉아 맑아지면 완성입니다.
▶ 조미료 없이도 맛있는 찐 국물, 전통 방식 그대로!
🍽 요리사의 팁 요약
• 무 갈아 넣기 + 손으로 된장 풀기 + 쌀뜨물 사용 = 맛의 핵심
• 멸치는 육수 안 내고 바로 넣고 끓이기
• 된장찌개는 오래 끓일수록 깊어진다
• 간단하지만 진하고 깊은 집밥 국물
👩🍳 시식평과 정리
영상 속 요리사는 “70년 넘게 이 방식으로 끓였다”고 말합니다.
손주와 함께 시식하며 “진짜 찐이다”, “간이 딱 맞다”는 평가를 듣는 진정한 전통 된장찌개.
▶ 된장찌개의 진수는 깊은 구수함에 있습니다.
▶ 이 레시피 하나로, 오늘 저녁 반찬 걱정 끝! 고등어조림, 김치볶음 없이도 밥 두 공기 뚝딱할 수 있어요.
✅ 요약 포인트
• 무를 갈아 넣어 국물 맛 업
• 쌀뜨물 사용으로 구수함 살리기
• 된장은 손으로 문질러 깊은 맛
• 오래 끓일수록 깊어지는 전통 방식
장민호 오돌뼈 뼈장 레시피 간단 정리(쭈꾸미, 연포탕, 쭈돌볶음)
나중에 제가 보고 만들어 먹으려고 간단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1️⃣ 뼈장 (오돌뼈 볶음 고추장) 💡 개념 소고기 대신 오돌뼈를 넣은 특제 볶음 고추장.비빔밥, 해물찜, 제육볶음 등 모든 요리에
news.in-day.co.kr
제주 비양도 꽃멸치로 만든 꽃 멸치조림!(골다공증예방)
안녕하세요! 오늘은 입맛도 살리고 건강도 챙기는 꽃멸치조림과 함께, 제주 바다의 보물인 비양도 꽃멸치와 제주꽃멸치젓의 매력까지 소개해볼게요. 이름도 예쁜 꽃 멸치로 간단하고 건강하게
news.in-day.co.kr